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법정 감염병
- 유행양상
- 물리
- 온열 요소
- 감염병 예방 방법
- 대기환경 구성요소
- 기후와 산업
- 대기오염
- 영향
- 감염병
- 지구 문제
- 감염병 관리 방법
- 비전리방사선
- 물리적 작용
- 감염병 생성과정
- 국제적 환경 협약
- 수인성 질병 감염원
- 물 수질검사 항목
- 불소 주입법
- 감염병 발생 원인
- 병원체의 신숙주 내 침입
- 생성과정
- 6단계 정수 과정
- 병원소
- 환경오염 사건
- 상수처리과정
- 공기의 자정작용
- 숙주의 감수성
- 대기오염 특성
- 공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
감염병, 대기 오염, 환경 오염, 공기 오염 관리 방법

상수처리과정에서 상수의 6단계 정수 과정 상수처리과정과 위생 또는 상수의 6단계 정수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수도의 설치 역사를 잠깐 살펴보면 우리나라 최초의 상수도 설치는 1905년 일본인들에 의해 처음 급수와 선박급수를 위해서 부산 범어사에 수원지를 설치하여 급수한 것이 처음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사실상의 우리 국민을 위한 상수도는 1908년 서울 뚝섬 정수장 설치가 최초의 급수시설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및 수도사업자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5년 말을 기준으로 상수도 보급률은 95% 전후로서 전년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2011년 농어촌 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은 55.9%로 전년 51에서 4. 9% 정도 상승했지만 여전히 50%대에 머무르고 있지만..

수질환경의 구성요소와 자정작용(수인성 질병 감염원) 물의 위생학적 개념 및 물의 자정작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물의 유생 학적 개념을 말씀드리기 전에 물의 중요성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해보면 아시겠지만 물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 요소로 생물체의 70-80% 정도가 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체는 체중의 60~70%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40%는 세포 내, 20%는 조직 중에, 5% 정도는 혈액 내에 존재함으로써 각 세포의 형성과 활동을 유지하도록 하고 영양소의 소화라든가 흡수, 운반 및 노폐물의 배설, 호흡과 순환, 체온 조절 등 중요한 생리작용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이 성인의 경우에는 하루에 약 2. 0~2. 5L는 섭취되어야 하며 만약 인체 중에서 10% 정도만 손..

물의 수질검사 항목(물리, 화학, 생물) 정수장 및 수도꼭지에서의 검사 기준 및 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검사 항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수질 검사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면 광역상수도 및 지방상수도의 경우에 정수장에서의 검사, 수도꼭지에서의 검사 및 수돗물 급수과정별 시설에서의 수질 검사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검사 대상에 따라 수질 검사 횟수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정수장에서의 검사 같은 경우는 냄새라든가 맛, 색도, 탁도 같은 경우는 매일 1회 이상 검사하게끔 되어 있고, 일반세균이라든가 총 대장균군이라든가 또는 질산성 질소라든가 같은 경우는 일주일에, 매주 1회 이상 검사하게 되어 있으며 미생물에 관한 기준이라든가 건강상 유해한 무기물질, 유기물질 같은 경우는 매..